아르스 영어 예술학교 (Art & English Language School with ars)

 

 

아르스는 예술적 실험을 바탕으로, 참여자들이 서로 소통하는 방식에 대한 탐구를 목표로 한 프로젝트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서는 소통"을 주제로 진행되며, 아르스 공간에 들어서면 모든 대화가 오로지 영어로만 이루어집니다. 이 독특한 규칙을 통해 참여자는 언어의 제약을 뛰어넘어, 서로의 감정과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새로운 방식을 경험합니다. 그러나 만약 영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면, 참여자는 "타임!"이라고 외쳐야만 잠시 바깥 공간으로 나가 5분 동안 한국어로 대화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집니다. 이 과정은 단순히 언어적 제한을 넘는 것이 아니라, 타인과의 소통을 어떻게 새롭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풀어낼 수 있는지를 실험하는 기회가 됩니다. 하지만 만약 참여자가 다른 이들의 동의를 구하지 않고, 혹은 한 명이라도 동의하지 않은 채로 한국어를 사용한다면, 즉각적인 벌칙이 따릅니다. 벌칙으로 주어지는 ‘인디언 밥’은 참여자들에게 일정한 도덕적이고 공동체적인 책임감을 부여하며, 프로젝트의 규칙을 더욱 강렬히 체험하게 만듭니다. 이 예술적 제약과 그로 인한 경험은 참여자들에게 언어, 커뮤니케이션, 규칙, 그리고 사회적 관계에 대한 깊은 성찰을 선사합니다.

 

----------------------------------------------------------------------------------------------------

 

At ars, an English-language art space, participants are required to communicate exclusively in English once they enter the space. If there is a situation where expressing something in English becomes difficult, they can shout "time" and step outside for a 5-minute break, where they can speak in Korean. However, if any participant fails to ask for permission or if someone uses Korean without consent, they will be penalized by receiving a playful "Indian slap." This project merges the concept of language with artistic expression, exploring the boundaries of communication, social interaction, and playful rules within the framework of an immersive art experience.

 

Posted by Minwook An :

 

캠핑장을 하는 곳에 필요 없을 듯한 냉방장치와 무선 인터넷

Air-conditioning and WiFi do not seem to be need at camping area.

 

 

....

쓸모 없는 에필로그

예술의 사회적 유용성에 대한 고민을 했던 아르스(ars)의 ‘쓸모 없는 예술 사무소’가 쿤스트독의 지원을 받아 난지 캠핑 장에 6월 한 달간 위치해 있었다. 제목과 달리 난지 캠핑 장에 쓸모 없는 예술의 예시로 전시 되었던 에어컨디셔너의 차가운 공기와 무선인터넷을 사용한 관객, 예술은 쓸모 없다 라는 자신의 생각을 재차 확인하며 조소섞인 미소를 지으며 지난친 행인 그리고 작가를 만나기 위해 찾아와 전시관람 후 옆 캠핑 장에서 함께 피크닉을 하며 시간을 보낸 참여자. 그들이 아르스의 쓸모 없는 예술 사무소와 어떤 고민을 주고 받았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다. 다만 일상 속의 예술이라는 모토와 여러 작가들의 참여로 운영되고 있는 이두개의 컨테이너 공간의 의미에 대해 쓸모 없는 예술 사무소라는 매개체로 충분히 다양하게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

쓸모 없는 예술에 대한 주제의 연장선상에서 사무소를 오산 문화공장의 프로젝트 스페이스로 옮겨줄 것을 제안 받았을 때 오산시립미술관이라는 캠핑 장과는 또 다른 장소와 관객 작업의 관계 맺음에 대한 고민에 빠지게 되었고 이전을 현실화 하는 과정에서 난지도에 쓸모 없는 예술 사무소는 오산문화공장에 영어 예술 학교라는 새로운 공간으로 변화해 옮겨져 한 달간 운영될 예정이다.

 
 

Useless Epilogue

The "Useless Art Office" by ars, which pondered the social utility of art, was located at Nanji Camping Ground for the month of June with the support of KunstDok. Contrary to its title, the exhibition featured the cold air from air conditioners and the wireless internet used by the visitors, confirming their own thoughts that art is useless. With a sarcastic smile, they met passers-by and the artist, spent time having a picnic at a nearby campsite after viewing the exhibition. It is unclear exactly what discussions took place between them and Ars’s "Useless Art Office." However, the experience becam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meaning of the two container spaces operated with the motto of art in daily life and the participation of several artists. The Useless Art Office served as a medium through which a diverse range of thoughts could be explored.


+

Building upon the theme of useless art, when it was suggested that the office move to the project space at Osan Culture Factory, it led to a deeper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udience, and the work. The transition from the Nanji Camping Ground to a new location triggered new challenges. The Useless Art Office was reimagined and transformed into the "English Art School" at Osan Culture Factory, a space that will be open for a month of operations.

Posted by Minwook An :

 

 

 

TED 강연 형식을 변형한 이 프로젝트는, 윔블던 예술대학의 세트 디자인 스튜디오를 강의실로 변형한 것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이는 공간을 물리적으로 변환한 것만이 아니라, 관점의 전환을 의미하는 예술적 실험이었습니다. 지역 주민들이 강연자의 역할을 맡아, 지루하고 일상적인 삶 속에서 놓치기 쉬운 이야기들을 나누는 기회를 마련했습니다. 강의 공간을 단순한 교육의 장이 아닌, 참여적이고 동적인 환경으로 변화시키며, 개인의 이야기와 예술적 표현이 융합되는 새로운 형식을 제시했습니다. 이 공간의 변형 자체가 ‘공적 발언’과 ‘예술적 담론’에 대한 고찰을 담은 하나의 예술 작품이 되었고, 관객과 연설자, 공간과 콘텐츠의 경계를 허물며 지역 사회의 목소리를 예술적 방식으로 되살리는 실험적 프로젝트였습니다.

In a playful twist on the TED Talk format, the set design studio at Wimbledon College of Art was transformed into a lecture theatre, not just as a physical space, but as a metaphor for shifting perspectives. The idea was to invite local residents to step into the role of a ‘speaker’—to share their personal, often overlooked, stories from the humdrum of everyday life. By turning the typical lecture space into a dynamic and participatory environment, the project encouraged a blend of personal narratives and artistic expression, highlighting the power of community voices while simultaneously blurring the lines between audience and performer. The transformation itself, a commentary on how environments shape interaction, became an art piece that invited reflection on the very idea of ‘public speaking’ and ‘artistic discourse.

 

Posted by Minwook An :